미국 인턴십 J1 프로그램 준비 가이드

미국 인턴십 J1 프로그램에 관심을 가지고 있나요? 이 글은 미국 J1 비자 인턴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해 인턴십 취지, 자격 요건, 진행 절차, 구직 방법, 인터뷰 내용 등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안내합니다.



미국 인턴십이란

미국 인턴쉽은 미국 국무부(Department of State) 산하의 J1 교환 방문 프로그램으로 대학 또는 직장인이 배운 전공 분야와 관련된 경험과 지식을 직접 체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매년 2,000명 이상의 학생이 미국을 방문하고 있습니다. (2022 미국 인턴 참가자 기준)

미국-인턴십-참가인원

미국 인턴은 미 정부의 주도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안전한 편이고 직무를 경험하여 개인의 이력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합니다. 출국 비자는 J-1이며 인턴은 최대 12개월, 트레이니는 최대 18개월 동안 미국 기업에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국 기업에서의 현장 실무 경험과 함께 영어도 습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미국 인턴십 특징

미국 인턴은 미국 기업에 근무 할 수 있는 장기 취업 프로그램이 아니라 전공 분야 직무 경험을 통해 개인의 경쟁력을 향상 할 수 있는 단기 직무 연수 프로그램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미국 문화와 업무 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
  • 전공 및 업무 분야에 대한 경험
  • 미국 현지인과 생활을 통한 영어 능력 향상
  • 대학 재학생(4학기 이상 수료) 및 졸업생(졸업 후 1년 이내) 모두 진행 가능
  • 전공과 다른 경우 해당 분야 5년 이상 경력 필요
  • 미국 회사와 고용 계약 작성 후 스폰서 재단 DS-7002 서류 작성 및 제출
  • 스폰서 재단의 심사를 통한 DS-2019 발급 (재단 관리 비용 발생)
  • 미국 대사관 J1 비자 승인 후 출국
  • 인턴십 종료 후 유학 전환 또는 귀국 (종료 후 최대 30일간 체류 가능)
  • 인턴십 경력 본인 스펙으로 활용 가능

특히 미국 인턴이 호주 워홀, 캐나다 워홀 등과 다른 점은 미리 회사 고용 계약을 마무리 후 출국한다는 점입니다.


미국 인턴십 종류 및 참가 자격

미국 인턴십 프로그램은 대학교 재학 여부에 따라 인턴과 트레이니로 구분 됩니다.

구분인턴 (INTERN)트레이니 (TRAINEE)
나이만 34세 이하제한 없음
학력대학 4 학기 (2년) 이상 수료학사 학위
경력필요하지 않음• 전공분야 1년 이상 경력
• 비 전공 분야 5년 이상 경력
영어영어 인터뷰 가능 자영어 인터뷰 가능 자
미국 체류기간3주 ~ 12개월3주 ~ 18개월
비고졸업 후 1년 이내까지만 지원 가능귀국 후 2년 간 미국 입지 금지

인턴은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지만 최소 4 학기 이상을 이수해야 합니다. 그리고 졸업을 한 경우에는 1년 이내까지만 신청이 가능하며 반드시 전공 분야 관련 직무로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니는 대학을 졸업한 경력자를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졸업 후 전공 분야에 최소 1년 이상의 경력이 필요하며, 전공과 다른 분야에서 근무를 한다면 5년 이상의 경력을 요구합니다.

위 기본적인 직무 외에 가장 중요한 점은 영어 소통이 가능해야 합니다. 인턴 지원 중에 회사 면접, 스폰서 기관 인터뷰 그리고 미국 대사관 비자 인터뷰 모두 영어로 진행됩니다.


미국 인턴십 직업

미국 인턴십은 대부분의 업종에서 가능하지만 전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와 사무 보조 업무를 비롯한 단순 노동 업무에서는 제한되거나 불가합니다.

인턴십 가능 분야

  • 농업, 임업 및 어업
  • 예술 및 문화
  • 건설 및 건축업
  • 교육, 사회 과학, 도서관
  • 상담 및 사회 서비스
  • 건강 관련 직종
  • 관광 및 호텔
  • 정보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 경영, 비즈니스, 상업 및 금융
  • 공공 행정 및 법률
  • 과학, 공학, 건축, 수학 및 산업 직종

인턴쉽 제한 또는 불가 분야

인턴이 제한되거나 불가한 업종은 비숙련직 또는 단순 노무직입니다. 또한, 보육 또는 노인 돌봄이 필요하거나 환자에게 직접적인 의료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분야에서도 불가 합니다. 더불어 사무 보조나 사무 지원 업무가 20% 이상 필요한 직무에서도 인턴은 불가 합니다.


인턴십 절차

미국 인턴 준비는 신청자가 적접 미국 회사 또는 스폰서 재단에 컨택 후 이력서 제출이나 인터뷰를 요청할 수 있고 국내 에이전시를 통해서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인턴십 준비를 에이전시를 통해 진행할 경우 영문 이력서 준비, 인터뷰 준비, 재단 서류 제출, J1 비자 인터뷰 서류 작성 등 전반적인 진행을 도움 받을 수 있지만 재단 참가비 외에 별도의 대행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미국-인턴십-진행절차

만약, 미국 인턴 준비를 개인이 적접 미국 회사와 연락하여 고용 계약을 하더라도 다시 스폰서 기관을 컨택하여 DS-7002를 제출하고 서류 심사(인터뷰 요청할 수 있음)를 통과하여 DS-2019를 발급 받아야 J비자 인터뷰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인턴십-에이전시

스폰서 기관 지불하는 비용은 에이전시 대행과 관계없이 지불해야 합니다.


미국 인턴십 용어 정리

미국 인턴십 준비와 관련된 몇 가지 주요 용어를 안내합니다.

에이전시(Agency)

에이전시(Agency)는 미국 인턴십을 희망하는 분들에게 회사 매칭에서 출국 준비까지 모든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대행 업체입니다. 신청자의 이력서 검토, 첨삭 등을 지원하고, 미국 호스트 컴퍼니(회사) 및 스폰서 기관과 연락하여 취업 진행과 DS-2016 발급 진행을 돕습니다. 더불어, 미국 J1 비자 발급을 위해 DS-160 작성과 인터뷰 예약, 비자 인터뷰 오리엔테이션 등을 지원합니다. 단, 신청자는 이러한 진행에 대한 대행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호스트 컴퍼니(Host Company)

인턴 또는 트레이니를 수용하고자 미국의 구인 회사를 말합니다. 지원자의 이력서를 검토하고 인터뷰를 통해서 채용 여부를 결정합니다. 만약, 채용이 이루어 진다면 미국 기관에 입국 서류 DS-2019를 요청하기 위해 지원자 또는 에이전시와 함께 DS-7002의 작성을 진행합니다. 호스트 컴퍼니가 되기 위해서 미국 국무부 가이드라인 규정을 만족해야 합니다.

스폰서 (Sponsor) 기관

미국 인턴십 프로그램은 미국 국무부에서 감독하되 스폰서 기관을 두어 인턴십 진행을 처리하고 관리 합니다. 스폰서 기관은 회사 인턴 및 트레이니 계획을 검토하여 심사 후 DS-2019를 발행합니다. 또한 인턴이 미국에서 당초 예정했던 DS-7002 계획에 따라 업무를 하는 지와 호스트 컴퍼니가 법을 지키며 인턴에게 근무 환경을 제공하는지 등도 평가합니다.

DS-2019

DS-2019는 인턴십(교환 방문 프로그램) 참가자에 대해 미국 국무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문서이며 미국 입국 허가서 개념입니다.

DS-2019


DS-2019는 스폰서 기관에서 평가하여 발급하며, 인턴십 및 트레이니 프로그램 참가자 정보, 방문 목적, 프로그램 기간, 담당자 등의 정보가 제공됩니다.

DS-7002

DS-7002는 J-1 Visa 인턴십 참가자, 스폰서 기관, 호스트 컴퍼니가 서명하는 서류이며 “T/IPP (Training and Internship Placement Plan)”라고 합니다. DS-7002는 지원자 학력 사항, 전공 정보와 함께 회사 정보(홈페이지, 사원수, 주소, 연간 매출 규모, EIN), 인턴 및 트레이니 업무 사항, 계획과 평가 방법, 기대 효과 등을 기입해야 합니다. 이 서류를 바탕으로 스폰서 기관에서 DS-2019를 발행합니다.

DS-7002

DS-7002에 기재 내용 중에는 호스트 컴퍼니가 인턴이나 트레이니에게 부여하는 업무 배치와 관련된 내용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12개월 인턴인 경우 4개월 단위로 직무 뿐만 아니라 미국 문화 활동을 체험 계획까지 포함되는데 미국 인턴십이 체계적인 교류 및 체험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미국 인턴십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특징과 진행 절차 등에 관하여 안내하였습니다. 대학교 재학생이라면 인턴십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소중한 직무 분야 경력을 쌓을 뿐만 아니라 미국 문화와 영어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