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유학 후 이민에 유리한 직업과 전공

캐나다 유학 후 이민을 준비 하나요? 본 포스팅은 캐나다 영주권 준비하는 분을 위한 보건, IT, 비지니스, 유아교육, 다양한 전문 기술직 등 최적의 직업과 전공 분야를 안내합니다.

📍Last Updated: May 10, 2024


캐나다 유학 후 이민

캐나다-유학-후-이민-장점

캐나다 유학 후 이민은 장기 체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학생 신분으로 출발하여 졸업 후 1년 이상 NOC TEER 0, 1, 2, 3 직군의 취업 경력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방 CEC카테고리 영주권 신청을 노려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연방 CEC 신청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주정부의 다양한 PNP 프로그램으로 영주권 신청까지 도전해 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캐나다 유학을 통한 이민은 새로운 환경인 캐나다 적응, 영어실력 향상, 캐나다 인맥 형성 등 장기적인 캐나다 정착을 위한 준비 과정이라는 점입니다.

비록, 최소 1년에서 최대 4년 정도의 유학 기간과 이 기간에 필요한 학비 등의 비용이 발생 할 수 있지만 캐나다 장기 이주를 꿈꾸는 분이 먼 훗날 시간과 비용에 대한 효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캐나다 유학 후 이민 비용은 캐나다 학교 입학 등록 기간의 학비, 주거비, 생활비 입니다. 취업 전까지 매년 3,500 만 원~4,500 만 원 정도의 비용이 예상됩니다.

캐나다 유학 후 이민 신청 절차

1.유학준비
캐나다 학교 입학에 필요한 모든 조건을 갖추어 학교 신청 후 입학허가서를 받고 캐나다 이민국으로부터 학생비자 허가를 받습니다.


2.학업진행
캐나다 입학한 학교에서 학업 및 인턴십 등을 이행합니다. 유학 기간 동안 영어학습, 캐나다 인맥 형성, 문화체험 등 다양한 경험 진행 합니다.

학업 기간은 개인이 신청한 입학 프로그램에 따라 1년~4년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3.취업비자 PGWP 신청
캐나다 학교의 모든 코스 종료 후 유학생 취업비자인 PGWP를 신청하고 구직 후 영주권 신청(CEC 경험이민)에 필요한 경력과 영어 점수 조건을 충족합니다.

✔경력
NOC TEER 0, 1, 2, 3 분야의 1개 직종에서 1년간 Full-time (주당 30시간) 경력을 쌓기 시작합니다. Part-time(주당 15시간) 근무시에는 2년 경력 필요하며 주당 30시간 이상의 초과 근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TEER 0: 매니저 직군
▪TEER 1: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소지 또는 TEER 2 직업에서 다년간 경력자
▪TEER 2: 컬리지 디플로마 학위소지 또는 2년 이상의 견습 경력자
▪TEER 3: 컬리지 디플로마 학위소지 또는 2년 미만의 견습 경력자 또는 6개월 이상 취업 경력을 쌓은 경력자

✔영어점수 준비(2년간 유효)
CLB 7: IELTS General 각 6.0 이상 (TEER 0 or 1)
CLB 5: IELTS General 각 5.0 이상 (TEER 2 or 3)


4.이민 프로그램 풀 등록
캐나다 내 경력 1년 충족 후 Express Entry 프로파일 POOL 등록 또는 주정부 Provincial Nominee Program (PNP) 등에 적합한 이민을 준비합니다.

본인의 CRS점수가 상위권에 해당되면 ITA(Invitation to Apply)를 받게 되며, 비자서류를 제출하여 영주권 신청을 합니다.


5.영주권 승인
서류 제출 후 심사를 통해 6개월 후 캐나다 영주권을 받게 됩니다.


캐나다 유학 후 이민 직업

캐나다-유학-후-이민-직업

캐나다 유학 후 이민 직업을 결정 하기 전에 이민 가능성 높은 직업을 먼저 살펴 본 후 본인의 적성, 전공, 경력과 유사하거나 선호하는 분야를 결정해야 합니다.


IT 분야 직업과 전공

캐나다 유학 후 취업 시장에서 인기 직업과 전공의 한 분야가 IT 입니다. IT 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시스템 분석가, 네트워크 관리자, 보안관리자, 데이타 관리자 등 매우 다양하며 이민 가능성이 높습니다.

캐나다 BC주의 경우 BC Tech Program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 경험과 기술을 가진 이민자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습니다.

  • 컴퓨터 과학 (Computer Science): 컴퓨터 과학은 소프트웨어 개발, 알고리즘, 데이터 구조, 인공 지능, 컴퓨터 시스템 등을 공부하는 분야입니다.
  • 소프트웨어 공학 (Software Engineering): 소프트웨어 공학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된 공학적 원리와 기술을 연구하는 분야이며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 테스트, 시스템 설계 등과 관련된 전공입니다.
  • 정보시스템 (Information Systems): 정보 시스템은 비즈니스와 기술을 융합하여 조직 내 정보 시스템을 설계, 구축 및 관리하는 분야입니다.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비즈니스 분석 등이 이와 관련된 주요 전공분야 입니다.
  • 데이터 과학 (Data Science): 데이터 과학은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분야이며 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통계 등입니다.
  • 사이버 보안 (Cybersecurity): 사이버 보안은 정보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과 전략을 개발하는 분야로 해킹 예방, 암호화, 침입 탐지 등을 전공합니다.

의료/보건 직업

캐나다는 풍부한 의료 자원을 보유한 국가로서 의료 관련 직업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습니다. 우리나라 출신인 경우 간호사, 간호조무사, 요양보호사가 캐나다에서 이민 가능성이 높은 직업군에 속합니다.

특히 캐나다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의료나 보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전망이며, 이에 따른 의료 인력 수요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술공학 직업

캐나다는 건설, 환경, 전기, 기계 등 다양한 공학 분야에서의 인력 수요가 높은 국가입니다. 더불어, 캐나다 각 지역에는 대표적인 공과대학들이 있고 캐나다 유학으로 국제 학생들 입학도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공학 기술자와 기술 직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건축가, 전기공, 기계공, 환경공 등 공학 관련 직업에 대한 경험과 학력을 가진 이민자들은 캐나다 이민 가능성이 높은 직업군에 속합니다.

  • 전기공학기술자 (Electrical Engineering Technologist): 전기 시스템과 전자 기기에 대한 설계, 유지 보수, 테스트 및 문제 해결을 수행하는 역할입니다. 전기 회로, 제어 시스템, 통신 기술 등을 다룹니다.
  • 건축 기술자 (Architectural Technologist): 건축 설계 및 구조에 관련된 기술 지식을 활용하여 건축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역할입니다. 건축 도면 작성, 3D 모델링, 시공 감독 등을 담당합니다.
  • 기계공학기술자 (Mechanical Engineering Technologist): 기계 시스템의 설계, 제조, 유지 보수, 테스트 등을 수행하는 역할입니다. 기계 요소, 열 전달, 유체 역학 등을 다루며, 기계 설계 및 기계 제작 과정에 참여합니다.
  • 자동차 기술자 (Automotive Technician): 자동차의 진단, 수리 및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역할입니다. 엔진, 전장, 주행 시스템 등을 점검하고 수리하여 자동차의 성능을 유지하고 복원합니다.
  • 환경 기술자 (Environmental Technologist): 환경 보호 및 관리에 관련된 기술 지식을 활용하여 환경 모니터링, 분석, 보고서 작성 등을 수행하는 역할입니다. 대기 오염, 수질 관리, 폐기물 처리 등에 참여합니다.

재무회계

재무와 회계 등에 관하여 지식이 있거나 관심 있는 사람은 재무 회계 (Financial Accounting), 관리 회계 (Managerial Accounting), 세무 회계 (Tax Accounting) 등과 관련된 전공을 고려해 수 있습니다.


건설 관련 직업

캐나다는 건설 분야에서도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국가입니다. 인프라 개발, 주택 건설, 도로 및 다리 건설 등 건설 관련 분야에서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건설 관련 직업으로는 건설 엔지니어, 건축가, 시공사 등이 있으며, 이 분야에서의 경력과 기술을 가진 이민자들은 캐나다에서 이민 가능성이 높은 직업군에 속합니다.


유아교육 및 요리 관련 직업

캐나다에서 유아교육과, 요리사 등도 이민에 유리합니다.

• 유아교육(Early Child Education): 유아교육 분야는 유아들의 안전과 건강을 돌봐주고, 학습 및 놀이 활동을 지원합니다. 우리나라 유아교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 캐나다 유학 없이 캐나다 유사교사 자격증 전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민가능성이 높습니다.

• 요리사 (Chef & Culunary Management): 캐나다 요리사는 꾸준히 수요가 있는 직업입니다. 요리 기술, 외식사업, 조리 경영, 관련 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의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캐나다 유학 후 이민 전공 예시


분야컬리지 학교전공직업(군)
의료/보건▪ Dental Hygiene
▪ Occupational Health & Safety
▪ Personal Support Work (PSW)
▪ Pharmacy Assistant
▪ Pharmacy Assistant
▪ Practical Nursing
▪ Dental Hygiene
▪ Occupational Health & Safety
▪ Personal Support Work (PSW)
▪ Pharmacy Assistant
▪ Practical Nursing
유아교육▪ Early Childhood Education
▪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evelopment
▪ Teacher Assistant
▪ Childcare Center director
▪ Childcare Worker
▪ Preschool Teacher
사회복지/커뮤니티서 서비스▪ Social Sercvice Worker
▪ Community Service
▪ Social Sercvice Worker
▪ Developmental Service Worker
▪ Activation Cordiator
물류/운동▪ Supply Chain Management▪ Materials Manager
▪ Retail and Wholesale buyers
▪ Purchasing Manager
▪ Strategic sourcing analyst
▪ Supervisors in materials
웹/그래픽 디자인▪ Animation
▪ Auto CAD
▪ Game Design
▪ Graphic Design
▪ UX/UI Design
▪ WEB design
▪ UX Designer/ Researcher
▪ Communications Coordinator
▪ Product Designer
▪ Experience Designer
▪ Interaction Designer
▪ Instructional Designer
▪ Service Designer
IT/전산 개발자▪ Cloud Computing
▪ Computer Programing
▪ Cyber Security
▪ Full Stack Development
▪ JAVA Script
▪ Software Development Diploma
▪ Machine Learning
▪ MOBILE APP Development
▪ Product Management
▪ WEB Development
▪ Developer
▪ Coder
▪ IT Company
▪ System Security Analyst
▪ Investigator
▪ Computer Forensics Expert
▪ Web Security Specialist
▪ Computer Security Consultant
기타 기술분야▪ Auto CAD
▪ Motive Power Technician
▪ Carpentry
▪ Electrician
▪ Heating,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 (HVAC)
▪ Heavy Equipment Operator
▪ Plumbing
▪ Welding
▪ Wood Working
▪ Building Systems Engineering Technician
▪ Technician
▪ Electrician
▪ Carpentry
▪ Heavy Equipment Operator
▪ Maintenance
요리/제빵▪ Culinary Arts
▪ Culinary Management
▪ Baking and Pastry Arts
▪ Chefs and Head cooks
▪ Food Service Manager
▪ Baker
▪ Food Service Manager

위 전공을 제공하는 캐나다 캐나다 컬리지 정보를 참고하시면 유학 후 이민 준비에 도움될 것 입니다. 

캐나다 유학 후 이민 주의사항

캐나다-유학-후-주의사항

캐나다 유학 후 이민에 적합한 대학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지역별 주요 공립 컬리지에서 제공하는 과정들은 졸업 후 취업비자 PGWP가 보장되기 때문에 사립 컬리지보다 유리한 점이 있습니다.

▣ 캐나다 연방 및 주정부 이민법 파악
캐나다 유학 후 이민을 고려한다면 연방 및 주정부 이민법을 참고하여 어떤 이민 옵션을 선택하는 것이 본인에게 유리할지 파악해야 합니다.

캐나다 이민법을 파악하는 것은 빠른 이민 진행을 뒷받침하는 최적의 유학과 취업 환경을 찾는 기본 준비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사이트의 캐나다 이민종류, CRS 종합자격평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지역산업 파악
캐나다 유학을 위한 관심 지역에서 활성화된 산업이 유학 당사자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체크 합니다. 지역의 산업을 체크하는 목적은 학교 재학중의 Co-op이나 인턴십을 통해 실무경험을 원할하게 쌓는 목적과 대학졸업 후 PGWP로 해당 지역에서 원할한 취업을 진행하기 위함입니다. 이는 곧 취업과 이민가능성을 높이려는 목적에 해당됩니다.

▣ 도시환경
대학이 위치한 도시의 기후, 안전성, 생활 편의 시설, 주거시설 등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환경인지 체크합니다.

▣ 학교 입학조건 및 개설전공 파악
입학 희망하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전공, 학위, 기간, 코업 여부 등을 파악해야 합니다.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코스가 자신의 관심 분야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더불어, 대학 입학에 필요한 고등학교 성적, 영어점수조건 등을 파악합니다.

▣ 캐나다 유학비용
캐나다 유학 기간 동안 지출되는 학비, 숙박, 기타 체류비가 어느 정도 필요한지 예산을 세워 봅니다. 년간 유학비용, 전체 유학기간 비용을 고려하여 예산에 적합한 지역과 주거 환경을 결정해야 합니다.

▣ 지역 교육청(자녀무상교육인 경우) 파악
자녀를 동반하여 유학을 진행하는 경우 자녀가 입학하게 될 지역의 공립 교육청을 파악합니다.

▣ 나이에 따른 이민 전략 세우기
캐나다 이민은 나이 점수를 기반으로 합니다. 특히, 20대를 넘어 서게 되면 나이 점수가 낮아져 불리하기 때문에 유학을 하더라도 불리함이 따를 수 있습니다.

30대 중후반부터는 유학 여부를 떠나 나이 점수를 극복하거나 나이와 상관없는 지역과 이민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전략도 필요합니다. 본 사이트의 30대 이후 연령 이민 준비 게시글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맺음말

캐나다 유학 후 이민은 캐나다 적응과 정착에 중요한 과정이기 때문에 신청자의 적성, 예산, 희망 환경에 맞는 지역과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성공적인 유학과 이민으로 가는 지름길 입니다.


🕭 함께 참고 하실 캐나다 유학 및 이민 정보 글

캐나다 이민 종류와 주정부 PNP 신청방법
캐나다 학생비자 준비하기
캐나다 어학연수 준비절차와 방법



Leave a Comment